러시아의 민간용병기업(PMC)인 바그너그룹의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러시아 지휘부에 대한 보복을 선언하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로 인해 러시아 정부는 이를 '쿠데타'로 간주하고 프리고진의 체포 명령을 내렸다. 사건은 러시아 내부의 안정을 위협하는 상황으로 발전하고 있다.
24일 현지시간에 로이터통신과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보안국(FSB)은 프리고진을 무장 반란을 선동한 혐의로 형사고발했다. 이에 따라 FSB는 바그너그룹의 대원들에게 "러시아 국민에 대한 어떠한 강압적인 행동도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이는 프리고진의 선언에 대한 러시아 정부의 강력한 대응임을 보여준다.
프리고진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는 세르게이 수로비킨 항공우주군 총사령관은 이러한 사태를 진압하기 위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명령을 준수하고 평화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것을 촉구했다. 수로비킨 총사령관은 "적들은 우리 내부 정치상황이 악화되기만을 기다리고 있다"며 "이런 어려운 시기에 적에게 유리하게 행동하는 것은 우리의 목적과 대통령의 명령과도 맞지 않는다"고 호소했다. 이는 러시아의 군사력을 담당하는 인물로서 안정과 질서를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프리고진은 이전에 텔레그램을 통해 바그너그룹 캠프에 대한 러시아 군의 미사일 공격으로 인해 다수의 희생자가 발생했다고 주장하며 러시아 군부를 응징할 것이라고 선언한 바 있다. 그는 부하들과 함께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어 러시아 남부 도시 로스토프에 진입했다고 밝히면서 "우리의 길을 막는 사람은 누구든 파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러시아 정부와의 직접적인 대결 상황을 암시하며 민간용병기업의 힘을 통해 군사력을 갖춘 그룹이 어떠한 행동을 취할 수 있는지를 시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타스통신은 프리고진의 무력 도발에 대비하여 러시아의 주요 시설에 대한 보호 조치가 강화되었다고 보도했다. 로스토프나도누시 도심에는 탱크 등 군경 차량이 배치되었으며 경찰은 비상경계태세에 돌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러시아 내부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단호한 대응을 취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러시아의 혼란과 민간용병기업의 선전포고로 인해 우려했던 상황이 현실로 이어지고 있다. 백악관은 러시아의 상황을 주시하고 있으며,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이에 대해 보고받았으며 동맹국 및 파트너와의 협의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국제사회가 현 상황을 주시하고 있으며, 러시아의 안정과 안전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우크라이나도 러시아의 내분 상황을 주시하고 있으며, 국방부는 "우리는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군사정보국장 키릴로 부다노프는 "통제권과 돈을 놓고 서로를 잡아먹기 시작했다"고 비판했다. 이는 러시아의 내부 갈등이 국가 간의 긴장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정부와 안보 기관은 이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안정을 회복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신 이슈]윤석열 대통령, 재정 혁신과 정치 보조금 폐지 강조 (0) | 2023.06.29 |
---|---|
[최신 이슈]삼성반도체 기술 유출 사건, 베테랑 직원 3명 공범으로 확인…중국에 '복제공장' 세우려 했다 (0) | 2023.06.26 |
[최신 이슈]일본 어민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반대 강화 (0) | 2023.06.23 |
[최신 이슈]일본 오염수 석촌호수론 (0) | 2023.06.23 |
[최신 이슈]타이타닉호 관광 잠수정 실종사건 상황 정리 (0) | 2023.06.20 |